본문 바로가기
기본전형계획 및 모집요강

[교육부] 2023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 & 수능 준비를 해야 하는 이유

by 수익 사정관 2022. 2.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학입학을 쉽게 도와주는 수익사정관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입니다.

 

2023학년도_대학입학전형기본사항.pdf
1.07MB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을 왜 알아야 할까?

우리나라 모든 대학입시는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정한

대학입학전형기본사항을 따르게 되어 있습니다.

 

이 대학입학전형기본 사항을 일반 수험생들이 볼 일은 거의 없습니다.

개별 대학마다 운영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기본사항을 알아야 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전체적인 입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입니다.

 

 

https://if-blog.tistory.com/12032

 

2023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 발표

◈ 수시모집 학생부위주, 정시모집 수능위주 선발 기조 유지 ◈ 고른기회 특별전형 정원내 선발 비율 증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인철 한국외국어대학교 총장, 이하 대교협) 대학입학전

if-blog.tistory.com

아래 교육부에서 발표한 내용에서 요약 일부분만 발췌요약하겠습니다.


(1) 수도권 정시 모집인원 증가, 비수도권 수시모집 모집인원 증가

(2) 수시모집 학생부위주(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정시모집 수능위주 선발 기조 유지

(3) 고른기회 특별전형 정원내 선발비율 증가

 

얼핏 보면, 어 수시가 다시 늘었으니까 수시가 여전히 대세인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이 의미하는 것은 수시의 대세화가 아닙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1/03/15/FYQDQPDXKVH4DJVEMPKR2OJS34/

 

무너지는 지방대… 200명 이상 정원미달 18곳

무너지는 지방대 200명 이상 정원미달 18곳 대구대 780명·원광대 710명 미달, 전체 1만명 추정 작년 3배 수준

www.chosun.com

 

위의 기사를 보시면 아실 수 있듯, 지방대는 점점 정원미달이 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수시는 6장이나 쓸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학생들이 원서를 분산해서 지원합니다.

반대로 정시는 3장밖에 못 쓰고, 학생들이 적정지원도 많이 하지만, 펑크를 대비한 상향지원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여타 대학 대비 선호도가 높은 수도권 대학만 정시를 늘리고,

(이는 서울 주요대학 대상으로 정책적으로 유도가 된 사항입니다.)

 

지방권 대학은 수시를 통해서 최대한 수험생을 확보하고자 자구책을 세운 것입니다.

따라서, 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라면 수능을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왜 수능 준비를 해야 하는가?

2022학년도부터 서울 주요 대학 대상으로 교육부는 아래 사항을 요구했습니다.

 

(1) 학생부교과전형 확대

(2) 정시모집 인원 확대

 

개별 대학 입장에서는 상당히 골치가 아팠을 것입니다.

 

(1) 개별 대학 평가기준이 있고 인재상을 확보가능한 학생부종합전형 축소

(2) 논술 축소로 인한 대학 재정 마련 어려움

(3) 정시 확대로 인한 입시 결과 방어전략 필요

 

그러다보니 대학의 입장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을 확대하는 한편으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였습니다.

등급으로만 따졌을 때는 겨우 이정도 최저등급이야?싶지만,

수험생 인구가 많이 줄어든 지금에는 생각보다 높은 등급일 수 있습니다.

(단순 비교로도 70만 수험생 시대 2등급은 7만등 수준이었는데,

40만 수험생 시대인 지금 3등급이 8만등 수준입니다.)

 

그러다보니 내신 등급만으로는 월등한 성적을 확보했음에도,

학생부교과전형의 최저등급을 충족하지 못해서 대학을 불합격하는 경우가 왕왕 있었습니다.

 

아깝지 않습니까?

학교에서 그렇게 노력해서 좋은 등급을 얻었는데,

겨우 수능 최저를 못 맞춰서 재수를 하며 내 1년을 보낸다는 게.

 

그래서 수능은 꼭 공부해야 합니다.

내가 수시에서 쓸 수 있는 대학의 폭도 넓히고,

혹시 모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말이죠:)

 

반응형

댓글